favicon

Jayden { do: smite }

(Vanilla JS로 상태관리 시스템 만들기 by 황준일님) 2편

🎾 기술책 스터디

23년 1월부터 활동 중인 교육에서, 뜻이 맞는 동료들과 함께 진행하게 된 스터디<br/> 앞으로도 꾸준히 기술 서적을 읽고 함께 발전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들어가기에 앞서

이 내용은 개발자 황준일 - Vanilla Javascript로 상태관리 시스템 만들기을 공부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대부분의 내용을 황준일님의 블로그를 참고하였고 몇개의 개념 내용 정도만 추가 혹은 내용 요약이 되어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황준일님의 블로그를 참고해주세요!(정말 너무 좋은 글이에요~!)

Vanilla Javascript로 상태관리 시스템 만들기

1. 중앙 집중식 상태관리

  • 현대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상태관리
  • 상태를 기반으로 DOM을 렌더링하기 때문이다.
  • 어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질수록 컴포넌트의 depth가 깊어지며 더불어 상태관리도 굉장히 어려워진다.

이 때,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하나하나 전달하지 않고 중앙 집중소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다룰 수 있다면 어떨까?

2. Observer Pattern에 대해 이해하기

  • 중앙 집중식 저장소Store라고 해보자.
  • StoreComponent의 관계
    • 하나의 Store가 여러 개의 Component에서 사용될 수 있다.
    • Store가 변경될 때, Store가 사용되고 있는 Component도 변경되어야 한다.
// store에 초기 state를 전달하면서 생성 const store = new Store({ a: 11, b: 16, }); // 컴포넌트 2개 생성 // Q. 여기서 Component의 parameter로 객체가 전달되는 게 맞나..? 어차피 아래에서 따로 구독하는데? const component1 = new Component({ subscribe: [store] }); const component2 = new Component({ subscribe: [store] }); // 컴포넌트가 store를 구독 component1.subscribe(store); // a + b = ${store.state.a + store.state.b} component2.subscribe(store); // a * b = ${store.state.a * store.state.b} // store의 state를 변경한다. store.setState({ a: 7, b: 19, }); // store가 변경되었음을 알린다. store.notify();

위와 같은 형태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Observer Pattern이라고 한다.

  • Observer Pattern은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들, 즉 옵저버들의 목록을 객체에 등록한다.
  • 상태 변화가 있을 때마다 메서드 등을 통해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저버에게 통지하도록 한다.
  • 디자인 패턴의 하나이다.
  • 발행/구독 모델이라고도 부른다.

1. Publisher(발행)

class Publisher { #state; #observers = new Set(); // 여기에 구독자들(관찰자들)이 저장된다. constructor(state) { this.#state = state; // Object.defineProperty() // state 객체의 key값을 순회하면서 this에 해당 key값으로 `() => this.#state[key]` value를 갖게 한다. // Q. 그런데 이걸 왜하는건지 모르겠다. // - 생성된 인스턴스에서 state가 갖는 값들에 바로 접근할 수 있어서..? // A. 값 변경이 일어나지 않게 처리하는 것 같다. Object.keys(state).forEach(key => Object.defineProperty(this, key, { get: () => this.#state[key] } ) ); } setState(newState) { this.#state = {...this.#state, ...newState}; this.notify(); } register(observer) { this.#observers.add(observer); } // Q. notify에 파라미터가 전달되지 않는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된다. notify() { this.#observers.forEach(observer => observer()); } }
  • Publisher: 발행자
  • setState(): 발행자의 상태를 변경하고 구독자를 실행함으로써 상태변화를 알린다.
  • register(): 구독자(관찰자)를 등록한다.
  • notify(): 구독자(관찰자; 함수)를 실행한다.

여기서 핵심은 setState()를 통해 상태 변경 시, notify()가 실행되며 구독자들이 실행된다는 점이다. 즉, 내부 상태가 변할 때 구독자에게 알리는 것

2. Subscriber(구독)

class Subscriber { #fn; constructor(fn) { this.#fn = fn; } subscribe(publisher) { publisher.register(this.#fn); } }
  • Subscriber: 구독자
  • #fn: Publisher 입장에서 observer 된다.
  • subscribe(): publisher를 받아서 observer를 등록한다.

발행기관을 구독한다.<br/> 발행기관에서 변화가 생겼을 때 하는 일을 정의해야 한다. 이게 사실 publisher에게는 observer가 된다.

3. 적용하기

const initailState = {a: 10, b: 20}; // Q. 왜 publisher라고 안하고 상태라고 했을까..? const publisher = new Publisher(initailState); // Q-a. publisher는 외부 객체인데, 이걸 참조하고 있는 게 맞나..? const addCalculator = new Subscriber(() => console.log(`a + b = ${publisher.a + publisher.b}`)); // Q-b. publisher를 구독하는 건 여기서 하면서..? addCalculator.subscribe(publisher);

3. 리팩토링

앞의 코드를 단순하게 observableobserve의 관계에만 집중해서 다뤄보자.

  • observable은 observe에서 사용된다.
  • observable에 변화가 생기면, observe에 등록된 함수가 실행된다.

1. Object.defineProperty 이해하기

MDN 문서의 설명은 아래와 같다.

객체에 직접 새로운 속성을 정의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속성을 수정한 후, 그 객체를 반환합니다.

// 여기서 부터 아래까지의 코드를 class 하나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let a = 10; const state = {}; Object.defineProperty(state, 'a', { get() { console.log(`현재 a의 값은 ${a} 입니다.`); return a; }, set(value) { a = value; console.log(`변경된 a의 값은 ${a} 입니다.`) } })
  • Object.defineProperty(targetObject, property, descriptor)
    • object: 속성을 정의할 객체
    • property: 새로 정의하거나 수정하려는 속성의 이름 또는 Symbol
    • descriptor: 새로 정의하거나 수정하려는 속성을 기술하는 객체

Object.defineProperty(targetObject, property, descriptor)는 객체를 참조하거나 객체에 어떤 변화가 생길 때, 중간에 우리가 원하는 행위를 집어넣을 수 있게 해준다.

2. 여러 개의 속성 관리하기

const state = { a: 10, b: 20, }; const stateKeys = Object.keys(state); for (const key of stateKeys) { let _value = state[key]; Object.defineProperty(state, key, { get () { console.log(`현재 state.${key}의 값은 ${_value} 입니다.`); return _value; }, set (value) { _value = value; console.log(`변경된 state.${key}의 값은 ${_value} 입니다.`); } }) } console.log(`a + b = ${state.a + state.b}`); state.a = 100; state.b = 200;

위의 코드에서 console.logobserver라는 함수로 변경해보자.

const state = { a: 10, b: 20, }; const stateKeys = Object.keys(state); const observer = () => console.log(`a + b = ${state.a + state.b}`); for (const key of stateKeys) { let _value = state[key]; Object.defineProperty(state, key, { get () { return _value; }, set (value) { _value = value; observer(); // set할 때 어떤 함수를 실행하게 하는 것이다. } }) } observer(); state.a = 100; state.b = 200;

지금까지의 과정을 조금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흐름이다.

  • obj.a로 어떤 값에 접근할 때(get), 중간에 뭔가 어떤 코드를 실행하고 싶은 것. 옵저버 패턴에서는 이 중간에 구독하는 메서드(subscribe)가 들어간다.
  • obj.a에 어떤 값을 할당할 때(set), 중간에 뭔가 어떤 코드를 실행하고 싶은 것. 옵저버 패턴에서는 이 중간에 알림하는 메서드(notify)가 들어간다.
  • 마치 중간에 과정을 가로채서 무언가를 실행하는 것. Proxy 패턴과 유사하다.

3. 여러 개의 Observer 관리하기

let currentObserver = null; const state = { a: 10, b: 20, }; const stateKeys = Object.keys(state); for (const key of stateKeys) { let _value = state[key]; // Q. 아래 observers는 for 문 밖에서 선언해도 되는데, 굳이 여기에 한 이유가 있을까? // A. for문 안에서 각각의 key에 대한 closer로 갖고 있어야 각 key가 get 됐을 때, 본인에게 해당하는 함수에만 접근한다. // 만약 밖에 빼두면 모든 key값들에 대한 observers가 공유되므로 그 안에 모든 함수가 실행되어버린다. const observers = new Set(); Object.defineProperty(state, key, { get () { if (currentObserver) observers.add(currentObserver); return _value; }, set (value) { _value = value; observers.forEach(observer => observer()); } }) } const 덧셈_계산기 = () => { currentObserver = 덧셈_계산기; // 아래에서 state.a를 get하는 순간 defineProperty의 get 메서드가 실행된다. console.log(`a + b = ${state.a + state.b}`); } const 뺄셈_계산기 = () => { currentObserver = 뺄셈_계산기; console.log(`a - b = ${state.a - state.b}`); } 덧셈_계산기(); // 아래에서 state.a에 어떤 값을 할당하는 순간 defineProperty의 set 메서드가 실행된다. state.a = 100; 뺄셈_계산기(); state.b = 200; state.a = 1; state.b = 2;

함수가 실행될 때 currentObserver가 실행중인 함수를 참조하도록 만든다.<br/> state의 프로퍼티가 사용될 때(get을 호출할 때),

4. 함수화

위의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onserveobservable 함수로 구현해보자.

let currentObserver = null; const observe = fn => { currentObserver = fn; // 아래에서 fn이 실행될 때, currentObserver가 존재하게 되므로 observers에 fn이 등록된다. fn(); currentObserver = null; } const observable = obj => { Object.keys(obj).forEach(key => { let _value = obj[key]; const observers = new Set(); Object.defineProperty(obj, key, { get () { // get일 때는 observers에 currentObserver가 추가되기만 한다. if (currentObserver) observers.add(currentObserver); return _value; }, set (value) { _value = value; // set일 때는 observers에 있는 currentObserver들이 하나씩 호출된다. observers.forEach(fn => fn()); } }) }) return obj; }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 Q. 아래 코드 다시 한번 생각해보기 const 상태 = observable({ a: 10, b: 20 }); observe(() => console.log(`a = ${상태.a}`)); observe(() => console.log(`b = ${상태.b}`)); observe(() => console.log(`a + b = ${상태.a} + ${상태.b}`)); observe(() => console.log(`a * b = ${상태.a} + ${상태.b}`)); observe(() => console.log(`a - b = ${상태.a} + ${상태.b}`)); 상태.a = 100; 상태.b = 200;

4. DOM에 적용하기

1. 일단 구현해보기

구조는 뒤로 하고, 기능만 구현해보기.

  • index.html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Store를 적용해보자</title> </head> <body> <div id="app"></div> <script type="module" src="./src/main.js"></script> </body> </html>
  • src/main.js
import { observable, observe } from "./core/observer.js"; const state = observable({ a: 10, b: 20, }); const $app = document.querySelector('#app'); const render = () => { $app.innerHTML = ` <p>a + b = ${state.a + state.b}</p> <input id="stateA" value="${state.a}" /> <input id="stateB" value="${state.b}" /> `; $app.querySelector('#stateA').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state.a = Number(target.value); }) $app.querySelector('#stateB').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state.b = Number(target.value); }) } /* observe 함수가 호출되면 render도 호출되면서 그 안에 있는 state.a와 state.b가 getter로 호출될 때 render 함수가 각각의 observers에 등록된다. 그리고 #stateA와 #stateB에 어떤 값을 입력하고 변화를 감지하면 바로 state.a와 state.b의 setter가 호출되면서 그 안에 observer중 하나로 존재하는 render 함수가 실행되면서 ui를 변경한다. */ observe(render);

2. Component로 추상화하기

  • src/core/Component.js
import { observable, observe } from './observer.js'; export class Component { state; props; $el; constructor ($el, props) { // $el이 부모 엘리먼트이다. 해당 컴포넌트가 추가될 target this.$el = $el; this.props = props; this.setup(); } setup() { // 컴포넌트마다 store가 있는 느낌이네. 여기서 state는 store라고 하는 게 좀더 자연스럽지 않나 싶다. this.state = observable(this.initState()); // state를 관찰한다. observe(() => { // state가 변경될 경우, 함수가 실행된다. this.render(); this.setEvent(); this.mounted(); }); } initState() { return {} } template () { return ''; } render () { this.$el.innerHTML = this.template(); } setEvent () {} mounted () {} }

위 코드를 기반으로 src/App.jsComponent를 적용해보자.

import {Component} from "./core/Component.js"; expor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 constructor와 super를 알아서 넣어준다. initState () { return { a: 10, b: 20, } } template () { // 이 때, this.state는 이미 observable이 적용된 객체이다. const { a, b } = this.state; return ` <input id="stateA" value="${a}" size="5" /> <input id="stateB" value="${b}" size="5" /> <p>a + b = ${a + b}</p> `; } setEvent () { const { $el, state } = this; $el.querySelector('#stateA').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 state.a에 값일 할당될 때(setter), `render, setEvent, mounted`가 실행된다. state.a = Number(target.value); }) $el.querySelector('#stateB').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state.b = Number(target.value); }) } }

3. 고민해보기

이렇게 Component 내부에서 관리되는 state(store 느낌...!)에 observable을 씌워서 사용할 경우, setState를 사용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느낄 수 있다. setState() 또한 state가 변경될 때마다 render를 실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직접 사용하느냐, setter를 했을 때 실행하느냐의 차이 느낌)

observer는 이렇게 컴포넌트 내부에서 사용하기보단 중앙 집중식 저장소를 관리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4. 컴포넌트 외부에 상태 만들어주기

아주 간단한 Store를 만들어서 관리해보자.

  • src/store.js
import { observable } from './core/observer.js' export const store = { state: observable({ a: 10, b: 20, }), setState (newState) { for (const [key, value] of Object.entries(newState)) { if (!this.state[key]) continue; this.state[key] = value; } } }
  • src/App.js
import { Component } from "./core/Component.js"; import { store } from './store.js'; const InputA = () => ` <input id="stateA" value="${store.state.a}" size="5" /> `; const InputB = () => ` <input id="stateB" value="${store.state.b}" size="5" /> ` const Calculator = () => ` <p>a + b = ${store.state.a + store.state.b}</p> ` expor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template () { return ` ${InputA()} ${InputB()} ${Calculator()} `; } setEvent () { const { $el } = this; $el.querySelector('#stateA').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store.setState({ a: Number(target.value) }); }) $el.querySelector('#stateB').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store.setState({ b: Number(target.value) }); }) } }
  • InputA, InputB, Calculator 3개의 컴포넌트가 store를 참조하고 있고, store가 변경되었을 때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렌더링된다.
  • 여기에 Flux 패턴을 사용하면 ReduxVuex가 되는 것이다.

5. Flux Pattern

  • Redux나 Vuex에서 사용되는 Flux 패턴
  • 단방향 데이터 흐름
    • Dispatcher -> Store
    • Store -> View
    • View -> Action
    • Action -> Dispatcher
  • 단방향 데이터 흐름데이터의 변화를 훨씬 예측하기 쉽게 만든다.

또한, 우리가 눈으로 보는 UI에 따라 일대일 대응으로 state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6. Vuex 같은 Store 만들기

Vuex가 어떤 interface를 가지고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자.

const store = new Vuex.Store({ state: { count: 0 }, mutations: { increment (state) { state.count++ } } });
  • 참고: Redux reducer과 Vuex mutations의 차이에 대한 GPT의 답변

질문: redux reducer and vuex mutations are simillar, right?<br/> 답변: Yes, Redux reducers and Vuex mutations are similar in their purpose and functionality. Both Redux and Vuex are state management libraries used in JavaScript applications, and reducers/mutations are used to modify the state in a predictable way. Redux is commonly used in React applications, while Vuex is used in Vue.js applications. Both Redux reducers and Vuex mutations take the current state and an action/payload as input, and return a new state as output. The new state is based on the current state and the action/payload passed to the reducer/mutation.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in how they are defined and used. In Redux, reducers are pure functions that take the current state and an action, and return a new state. Reducers are combined together using the combineReducers function, and are called by the Redux store when an action is dispatched. In Vuex, mutations are functions that directly modify the state. They are defined as methods in the Vuex store, and are called using the commit method when an action is dispatched. Overall, whil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ir implementation, Redux reducers and Vuex mutations serve a similar purpose and are used to achieve similar goals in state management.

  • mutations: state를 변경시킨다.
store.commit('increment'); // state의 count 값이 1 증가하게 된다. console.log(store.state.count); // 1

즉, commit으로 mutations의 메서드를 실행하는 구조이다.

Vuex는 개념만 알아보고 구현사항은 생략하겠습니다.

7. Redux 만들기

마찬가지로 Redux가 사용되는 형태를 살펴보자.

import { createStore } from 'redux' /** * 이것이 (state, action) => state 형태의 순수 함수인 리듀서입니다. * 리듀서는 액션이 어떻게 상태를 다음 상태로 변경하는지 서술합니다. * * 상태의 모양은 당신 마음대로입니다: 기본형(primitive)일수도, 배열일수도, 객체일수도, * 심지어 Immutable.js 자료구조일수도 있습니다. 오직 중요한 점은 상태 객체를 변경해서는 안되며, * 상태가 바뀐다면 새로운 객체를 반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불변성 * * 이 예제에서 우리는 `switch` 구문과 문자열을 썼지만, *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맞게 * (함수 맵 같은) 다른 컨벤션을 따르셔도 좋습니다. */ function counterReducer(state = 0, action) { switch (action.type) { case 'INCREMENT': return state + 1 case 'DECREMENT': return state - 1 default: return state } } // 앱의 상태를 보관하는 Redux 저장소를 만듭니다. // API로는 { subscribe, dispatch, getState }가 있습니다. let store = createStore(counter) // subscribe()를 이용해 상태 변화에 따라 UI가 변경되게 할 수 있습니다. // 보통은 subscribe()를 직접 사용하기보다는 뷰 바인딩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React Redux)를 사용합니다. // 하지만 현재 상태를 localStorage에 영속적으로 저장할 때도 편리합니다. store.subscribe(() => console.log(store.getState())) // 내부 상태를 변경하는 유일한 방법은 액션을 보내는 것뿐입니다. // 액션은 직렬화할수도, 로깅할수도, 저장할수도 있으며 나중에 재실행할수도 있습니다. store.dispatch({ type: 'INCREMENT' }) // 1 store.dispatch({ type: 'INCREMENT' }) // 2 store.dispatch({ type: 'DECREMENT' }) // 1

코드를 살펴보면 createStoresubscribe, dispatch, getState 등의 메서드를 가진 객체를 반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onst createStore = (reducer) => { return {subscribe, dispatch, getState}; }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간단하게 구현을 해보자.

import { observable } from './observer.js'; export const createStore = (reducer) => { // reducer가 실행될 때 반환하는 객체(state)를 observable로 만들어야 한다. // Q. 여기서 state를 observable하는 게 의미가 있나..??? // observable을 적용한 initialState를 받는 걸로 이해하면 될까? // 어떤 것도 observe 하지 않는다면, observable은 아무런 의미가 없지 않나..? const state = observable(reducer()); // getState가 실제 state를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frozenState를 반환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 state와 동일한 내용이지만, getter만 되면서 state === frozenState가 false const frozenState = {}; Object.keys(state).forEach(key => { Object.defineProperty(frozenState, key, { get: () => state[key], // get만 정의하여 set을 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 // dispatch로만 state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const dispatch = (action) => { const newState = reducer(state, action); for (const [key, value] of Object.entries(newState)) { // state의 key가 아닐 경우 변경을 생략한다. if (!state[key]) continue; state[key] = value; } } const getState = () => frozenState; // subscribe는 observe로 대체한다. return { getState, dispatch }; }

위의 createStore를 사용하여 store를 만들어보자.

src/store.js

import {createStore} from './core/Store.js'; // 초기 state의 값을 정의해준다. const initState = { a: 10, b: 20, }; // dispatch에서 사용될 type들을 정의해준다. export const SET_A = 'SET_A'; export const SET_B = 'SET_B'; // reducer를 정의하여 store에 넘겨준다. export const store = createStore((state = initState, action = {}) => { switch (action.type) { case 'SET_A' : return { ...state, a: action.payload } case 'SET_B' : return { ...state, b: action.payload } default: return state; } }); /* 아래와 같이 reducer 함수를 정의해서 전달해도 좋을듯 const reducer = (state, action) => { switch (action.type) { case 'SET_A' : return { ...state, a: action.payload } case 'SET_B' : return { ...state, b: action.payload } default: return state; } } */ // reducer에서 사용될 action을 정의해준다. export const setA = (payload) => ({ type: SET_A, payload }); export const setB = (payload) => ({ type: SET_B, payload });

이제 App에서 Store를 사용해보자.

src/App.js

import { Component } from "./core/Component.js"; import {setA, setB, store} from './store.js'; const InputA = () => `<input id="stateA" value="${store.getState().a}" size="5" />`; const InputB = () => `<input id="stateB" value="${store.getState().b}" size="5" />`; const Calculator = () => `<p>a + b = ${store.getState().a + store.getState().b}</p>`; expor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template () { return ` ${InputA()} ${InputB()} ${Calculator()} `; } setEvent () { const { $el } = this; $el.querySelector('#stateA').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 dispatch를 통해서 값을 변경시킨다.(commit이라고 오타 있음) store.dispatch(setA(Number(target.value))); }) $el.querySelector('#stateB').addEventListener('change', ({ target }) => { // dispatch를 통해서 값을 변경시킨다.(commit이라고 오타 있음) store.dispatch(setB(Number(target.value))); }) } }

이렇게 위와 같이 간단한 redux를 만들어볼 수 있다.

참고

Copyright 2023. all rights reserved by Jay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