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808(화)
🚤 성장일지 6.0
책 행복한 이기주의자(웨인 다이어)
의 내용에 자극받아 시작하는 소박한 성장기록
살아있는 꽃과 죽은 꽃은 어떻게 구별하는가?<br/> 성장하고 있는 것이 살아 있는 것이다.<br/> 생명의 유일한 증거는 성장이다!
🌾 (4.0)학습 키워드에서 최대한 간단한 정보 제공, 고민에서 내 경험을 자세히 적자!<br/> 🥊 (5.0)학습 키워드는 한줄의 핵심으로만 정리, 성공/실패 일지 작성하기! 이 때, 실패의 경험은 자세히 적기!<br/> 🍉 (6.0)<완전 개편!!!> 매일 습관적으로 핵심만 적을 수 있게 프레임 변경. 성공보단 실패에 초점을 맞추기.<br/>
- 🍉 (6.1)<수정> 매번 성공, 실패를 따로 적는 것보단 경험으로 표현하자!
- 🍉 (6.2)<수정> 일지 카테고리 수정 변경!(경험 -> 고민 -> 회고 -> 교훈)
☀️ 오늘의 경험
Server-Side Routing vs Client-Side Routing
보통 Server-Side Rendering
과 Client-Side Rendering
을 구분해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둘을 Routing
방식에 따라서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SSR(Server-Side Routing)은 서버에서 라우팅을 처리하는 방식, CSR(Client-Side Routing)은 클라이언트에서 라우팅을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SSR은 페이지 별로 html 파일을 받는
방식으로 사실상 서버 사이드 라우팅이라는 단어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CSR은 라우팅을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서버에서는 단일 페이지만을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에서 라우팅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제 여기서 window.location
과 history api
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조금 단순하게 하면 window.location
은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의미하고 history api
는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제어할 수 있는 api를 의미한다. window.location
은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의미하기 때문에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변경하면 브라우저가 새로고침되고 서버에 새로운 페이지를 요청하게 된다.
반면에 history api
는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제어할 수 있는 api이기 때문에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변경해도 브라우저가 새로고침되지 않고 브라우저의 주소창만 변경된다. 즉, 어떻게 보면
window.location
은 서버 사이드 라우팅을 의미하고 history api
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라우팅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둘의 차이점을 잘 알고 사용토록 하자!!! (우리가 사용하는 react-router-dom은 history api
를 사용한다.)
🫧 오늘의 고민
이력서 다듬기
이력서를 완전히 뜯어 고쳤다. 최대한 기술적인 이슈에 대해서 집중하는 방식으로 고치고 있는데, 이게 또 정말 괜찮은 방법인지 모르겠다. 내일까지 작성해서 가까운 개발자분들께 피드백을 요청해보려 한다.
🌈 오늘의 회고
저녁에 쪼끔 쉬엄쉬엄했다. 생각한만큼 강의를 듣진 못했지만... 그래도 계획 세운 정도는 얼추 다 한듯..! 그리고 오늘 드디어 프로젝트를 정리하고 이력서를 열심히 다듬었다. 미루고 미뤘던 일인만큼 정말 뿌듯하다. 얼른 이력서 피드백도 받고 열심히 제출하면서 취업해야지!!!
🐾 오늘의 교훈
하면 익숙해진다. 아 그리고 에어컨은 꼭 청소하자.(ㅋㅋ)
🪵 참고
undef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