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201(수)
🎄 성장일지 3.1
책 행복한 이기주의자(웨인 다이어)
의 내용에 자극받아 시작하는 소박한 성장기록
살아있는 꽃과 죽은 꽃은 어떻게 구별하는가?<br/> 성장하고 있는 것이 살아 있는 것이다.<br/> 생명의 유일한 증거는 성장이다!
🌳 키워드 (1.0)<br/>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 추후에 보면서 스스로 설명<br/> 🍉 경험 위주로 (2.0)<br/> 단순 정보를 전달하기보다 무엇을 배웠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짧고 간단하게 작성<br/> ❄️ 정해진 템플릿에 맞춰서 (3.0)<br/> 키워드, 경험 모두 좋다. 다만 매일 작성하기로 마음 먹은만큼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게 템플릿을 작성 (3.1) 230102부터 시작되는 학습에 관한 내용 추가
🔑 오늘의 키워드
최대한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알고리즘 문제 풀기
기존에 풀었던 알고리즘 문제를 다시 풀 기회가 생겼다. 다시 푸는 김에 타입스크립트 +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최대한 지키면서 풀어보기로 했다.
새로운 풀이
type NumberArray = number[]; const solution = ( array: NumberArray, commands: NumberArray[], ): NumberArray => { return commands.map( (command) => array.slice(command[0] - 1, command[1]).sort((a, b) => a - b)[ command[2] - 1 ], ); };
기존 풀이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let answer = []; for (let command of commands) { let arr = new Array(...array); let i = command[0]; let j = command[1]; let k = command[2]; let tempArr = arr.splice(i - 1, j - i + 1); tempArr.sort((a,b) => a-b); let num = tempArr[k - 1]; answer.push(num); } return answer; }
새로운 풀이(커링 함수 사용)
type ChangeString = (word: string) => string; const changeOddCapital = (word: string): string => { return [...word] .map((l, i) => (i % 2 ? l.toLowerCase() : l.toUpperCase())) .join(''); }; const solutionCurrying = (fn: ChangeString) => (s: string): string => { return s.split(' ').map(fn).join(' '); }; const solution = solutionCurrying(changeOddCapital);
기존 풀이
function solution(s) { let words = s.split(' '); const changeUpperLower = (word) => { let arrWord = [...word] for (let i = 0; i < arrWord.length; i++) { arrWord[i] = i % 2 === 0 ? arrWord[i].toUpperCase() : arrWord[i].toLowerCase(); } return arrWord.join(''); } return words.map((word) => changeUpperLower(word)).join(' '); }
새로운 풀이(지저분해도 커링을 극대화 해보기)
const solutionCurrying = (firstPattern: number[]) => (secondPattern: number[]) => (thirdPattern: number[]) => (answers: number[]): number[] => { const scores = [ answers.filter( (answer, i) => answer === firstPattern[i % firstPattern.length], ).length, answers.filter( (answer, i) => answer === secondPattern[i % secondPattern.length], ).length, answers.filter( (answer, i) => answer === thirdPattern[i % thirdPattern.length], ).length, ]; const maxScore = Math.max(...scores); return scores .map((score, i) => (score === maxScore ? i + 1 : 0)) .filter((score) => score); }; let [firstPatterns, secondPatterns, thirdPatterns] = [ [1, 2, 3, 4, 5], [2, 1, 2, 3, 2, 4, 2, 5], [3, 3, 1, 1, 2, 2, 4, 4, 5, 5], ]; const solution = solutionCurrying(firstPatterns)(secondPatterns)(thirdPatterns);
기존 풀이
function solution(answers) { const lengthAns = answers.length; const first = [1,2,3,4,5]; const second = [2,1,2,3,2,4,2,5]; const third = [3,3,1,1,2,2,4,4,5,5]; const firstAns = new Array(Math.ceil(lengthAns / first.length)).fill(first).flat(); const secondAns = new Array(Math.ceil(lengthAns / second.length)).fill(second).flat(); const thirdAns = new Array(Math.ceil(lengthAns / third.length)).fill(third).flat(); let countFirst = 0; let countSecond = 0; let countThird = 0; for (let i=0; i < lengthAns; i++) { if (answers[i] === firstAns[i]) { countFirst++; } if (answers[i] === secondAns[i]) { countSecond++; } if (answers[i] === thirdAns[i]) { countThird++; } } let answer = []; let temp = [countFirst, countSecond, countThird]; let countMax = Math.max(...temp); for (let i = 0; i < 3; i++) { if (temp[i] === countMax) { answer.push(i+1) } } return answer; }
새로운 풀이
type NumberArray = number[]; type NumberStack = (number | undefined)[]; const solution = (board: NumberArray[], moves: NumberArray): number => { const stack: NumberStack = []; let count: number = 0; const machineStacks: NumberArray[] = new Array(board.length) .fill(0) .map((_, i) => board.flat().filter((num, j) => num && j % board.length === i), ); const pickedNums = moves .map((move) => { let picked = machineStacks[move - 1].shift(); return picked ? picked : -1; }) .filter((num) => num >= 0); pickedNums.forEach((pickedNum) => { let stackPick = stack.pop(); stackPick === pickedNum ? count++ : stack.push(stackPick, pickedNum); }); return count * 2; };
기존 풀이
function solution(board, moves) { let answer = 0; const n = board.length; let basket = []; let moveToIndex = moves.map((move) => move - 1); for (let move of moveToIndex) { for (let i = 0; i < n; i++) { if (board[i][move]) { if (basket[basket.length - 1] === board[i][move]) { basket.pop(); board[i][move] = 0; answer += 2; break; } else { basket.push(board[i][move]); board[i][move] = 0; break; } } } } return answer; }
참고자료
📝 요약 및 하루 간단 회고
과거의 코드도 아주 오래전은 아니지만, 이렇게 현재의 코드와 비교해보니 감회가 새롭다. 시간복잡도에 대한 효율성을 테스트해본 것은 아니지만, 목표로 했던 타입스크립트 + 나름의 함수형으로 완성해서 정말 기쁘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정말 조금이라도 고려하면서 알고리즘에 적용해본 경험이 정말 값지다. 솔직히 좀더 함수형 느낌으로 순수함수들을 구분하고 파이프를 구축하듯이 하고 싶었는데, 역시나 쉽지는 않았다. 이 정도 공부하고 쉽게쉽게 함수형이 나오면 그것도 재미없으니까..!<br/> 앞으로도 알고리즘을 풀 때, 좀더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하도록 노력해봐야겠다. 아직 공부할 것도 많고 나아갈 길도 많지만, 이렇게 이전의 나와 비교해보니 색다른 재미가 있는 것 같다!
오늘의 잘한 점
- 새벽 6시에 일어나서 헬스장 드디어 갔다!!!!!!!
- 타입스크립트에 대해 조금 익숙해진 점
-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알고리즘을 접근해본 것!(고민해보는 시간이 정말 좋았다!)
- 조금은 지저분하고 억지스럽지만 커링도 써보려하고, 한줄한줄 함수형으로 고민해본 시간이 정말 뜻깊었다.
오늘의 아쉬운 점
- 오늘... 흠... 없다..! 오늘은 그냥 다 잘했다!!! 그렇게 생각하자 ㅎㅎ
undefined